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세상 이야기

정윤회는 과연 진실을 말하고 있을까

일산백송 2014. 12. 4. 10:26

정윤회는 과연 진실을 말하고 있을까
'민간인' 신분으로 박관천 연락처 알아낼수 있었던 배경에 의혹
조응천, 정윤회 통화 거절한 지 나흘 만에 해고된 까닭도 의문
인터넷뉴스본부 채석원 기자
입력시간 : 2014/12/03 16:31:19 수정시간 : 2014/12/03 17:28:18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원이던 시절 비서실장이었던 정윤회(59)씨의 행적이 의혹을 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과 접촉하지 않았다는 정씨 얘기를 곧이 믿을 수 없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정씨는 그간 ‘청와대 핵심 비서관 3인방’(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과 접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다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이에 대해 반박하자 지난 4월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과 

통화한 건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조 전 비서관은 2일자 조선일보 인터뷰에서 “지난 4월 10~11일 이틀에 걸쳐 청와대 공용 휴대폰으로

 전화가 왔는데 모르는 번호여서 받지 않았다. 

그 직후 ‘정윤회입니다. 통화를 좀 하고 싶습니다’라는 문자가 왔다”고 말했다.

조 전 비서관은 

“4월11일 퇴근길에 이 비서관이 내게 전화를 걸어와 ‘(정씨) 전화를 좀 받으시죠’라고 했다”며 

“정씨와 절연한 것처럼 얘기해온 이 비서관이 정씨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을 보고 

‘도대체 이게 뭐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정씨가 어떤 방식으로든 비서관 3인방과 접촉해왔다는 걸 암시한 셈이다.

이에 대해 정씨는 전화통화 자체는 사실임을 인정하면서도 비서관 3인방과는 박근혜정부 출범 후 

일절 만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2일 YTN 인터뷰에서 “당시 주간지(시사저널)에 보도된 박지만 (EG) 회장 미행 사건과 관련해 

조 (전) 비서관과 통화를 하려고 했다. 

하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이 비서관에게 (조 전 비서관에 전화해 내게) 연락을 달라고 부탁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시사저널이 ‘지난 3월 정씨가 박 회장을 미행했고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정씨를 내사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하자 자기는 관련이 없다는 걸 알리기 위해 공직기강비서관실 책임자였던 조 전 비서관에게 전화로 

해명 혹은 항의를 하려 했다는 얘기다. 

정씨는 또 최근 비서관 3인방 중 한 명인 안봉근 비서관과도 통화했다고 밝히며 

“도대체 이런 문건이 왜 나오게 됐는지 물어봤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이번에는 참지 못하겠다. 

이제는 나는 나대로 할 테니까 그쪽 3인방도 이제 3인방이 할 수 있는 걸 해라고 얘기했다”고 

통화 내용을 전했다.

정씨는 이날 KBS 인터뷰에서도 2007년 대선 이후론 비서관 3인방을 비롯해 이른바 ‘십상시’로 지목된 

사람들과 만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냥 민간인으로 살고 있는데 어떻게 그런 (모임을) 하겠나. 전혀 연락을 안 하고 만나지도 않는 사이”라고 말했다.

비서관 3인방인 이재만ㆍ정호성ㆍ안봉근 비서관은 박 대통령이 1998년 3월 

대구 달성 보궐선거를 통해 정계에 입문한 이래 17년간 줄곧 박 대통령을 보좌해왔다. 

정씨는 비서실장으로서 이들을 이끌었다. 

‘정윤회 문건’의 핵심은 정씨가 비서관 3인방을 비롯한 핵심 비서관들과 만나 국정운영에 간여했다는 것인데, 

정씨는 이 비서관과 한 차례 통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야인생활을 하면서 3인방을 만나는 등 

접촉한 일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정씨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기엔 미심쩍은 구석이 있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일고 있다. 

정씨는 지난 4월 시사저널 보도 이후 ‘정윤회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경정을 만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정씨는 2일 KBS ‘황상무의 시사진단’과의 인터뷰에서 “박 경정도 만나고, 박지만 회장도 만났다. 

마지막으로 남은 사람이 조 전 비서관인데, 제가 문자도 여러 번 남기고 전화도 여러 번 남겼다.

저 혼자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누구의 도움도 받을 수 없는 저는 민간인이지 않은가. 

마지막으로 조 전 비서관을 만나려 했는데 전화를 여러 번 해도 안 받고 제 이름을 밝히고 

문자로 좀 만나자고 해도 안 만나주고 해서 (이 비서관에게 조 전 비서관이 내 전화를 받도록 해달라고) 

부탁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정씨가 ‘정윤회 문건’ 작성자로 박 경정을 특정해 만남에까지 이른 배경에 의혹이 쏠리고 있다. 

시사저널은 정씨 의혹을 파헤치는 지난 4월 기사에서 박 경정은 ‘ㄴ씨’, 조 전 비서관을 ‘ㄱ씨’로 표기했다. 

당시 상황에서 ‘ㄱ씨’를 민정수석 산하 비서관 중 한 사람으로 추측하는 건 어렵지 않지만 

경찰직원으로 소개된 청와대 행정관 ㄴ씨를 박 경정으로 특정하는 건 쉽지 않다. 

민정수석실 파견 경찰이 10여명이기에 청와대 관계자의 조력 없이는 ㄴ씨가 박 경정이라는 걸 알기 어렵다. 

설사 박 경정이 문건 작성자라는 사실을 알았더라도 그의 연락처를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뒤따른다. 

자기가 원할 때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을 만날 수 있었다는 점만으로도 

정씨가 ‘민간인’이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고 주장이 나오는 까닭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정씨가 박 경정 연락처와 조 전 비서관의 청와대 공용폰 번호를 획득한 배경도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 전 비서관이 청와대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은 시기 역시 정씨가 어떤 식으로든 청와대 관계자들과 접촉하고 있었다는 정황 증거라는 주장도 있다. 

조 전 비서관은 지난 4월 10~11일 이틀에 걸쳐 청와대 공용 휴대폰으로 전화가 왔는데 

모르는 번호여서 받지 않았고 그 직후 ‘정윤회입니다. 통화를 좀 하고 싶습니다’라는 문자가 왔다고 했다. 

조 전 비서관은 정씨에게 전화를 하지 않았고, 나흘 뒤인 4월 15일 홍경식 당시 민정수석으로부터 

해고 통보를 받았다. 

정씨가 조 전 비서관과의 통화에 성공하지 못하자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자기 상황을 알려 

조 전 비서관 해고를 유도했거나 지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