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슬픈 이야기

고독사, 노인? 50대 남성이 가장 많다

일산백송 2018. 2. 15. 12:55

머니투데이

[MT리포트]고독사, 노인? 50대 남성이 가장 많다

이동우 기자 입력 2018.02.15. 04:00

 

[고독한 죽음에 대하여③]최근 5년간 무연고 사망 22.6% '50대 남성'..전문가 "신체 변화, 실직 등 영향"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 어느 골방 구석에서 누군가 죽어가고 있다. 누군가의 아빠 엄마 아들 딸이다. 명절이 더 고통스러운 사람들이 우리 옆에 있다. 이들을 보듬지 못하는 한 우리는 아직 문명화된 사회에 살고 있다고 말할 자격이 없다.

 

쓸쓸히 죽음을 맞는 고독사는 노인들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할까. 일반적 인식과 달리 고독사는 고령층보다 50대 중·장년층 남성이 많이 당한다. 50대 남성이 겪는 급작스러운 신체·환경의 변화를 사회 안전망이 받쳐주지 못해 나타나는 결과다.

 

14일 서울시 복지재단에 따르면 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고독사 3343건(확실 162건, 의심 2181건) 중 50대는 가장 많은 22.4%(524건)를 차지한다. 70대(385건)나 60대(368건)보다도 많은 수치다.

 

고령일수록 고독사에 쉽게 노출된다는 통념과 달리 홀로 쓸쓸한 죽음을 맞은 5명 중 1명 이상이 50대라는 얘기다. 성별로는 남성이 압도적이다. 서울시 조사의 전체 고독사 확실 사례 중 남성이 84.6%다.

 

보건복지부에서 집계하는 무연고 사망자 통계에서도 서울시 조사와 비슷한 결과가 확인된다. 정부는 공식적인 고독사 통계를 별도로 집계 하지 않는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발생한 무연고 사망자 8190명 가운데 50대 남성은 전체의 22.6%에 해당하는 1854명이다. 같은 기간 70세 이상 남성 무연고 사망자는 1301명에 그친다.

 

무연고 사망자는 유족이 없거나 확인이 안되는 사망자를 말하지만, 유족이 시체 인수를 거부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고독사 시신 중 일부가 유족에 인계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고독사 사망자는 무연고 사망자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50대 남성이 유독 높은 고독사 비율을 보이는 것은 그들이 처한 고립적 현실을 반영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50대 남성은 직장·이혼·양육 문제로 가족과 떨어져 혼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5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마음의 준비가 돼 있는 고령층에 비해 회사나 조직 생활을 갑작스럽게 그만두는 일 등이 병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마음의 스트레스가 그 사람들을 고립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 역시 “50대는 일을 더 할 수 있지만 이른 퇴직 등으로 경제적인 부담과 책임감, 사회적 시선 등 심리적 불안감에 빠질 위험도가 높다”며 “60대 이상은 이런 문제들을 어느 정도 극복한 시기지만 50대는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50세를 넘어가며 찾아오는 급격한 신체 변화와 퇴직 등 경제적 어려움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고독사를 유발한다는 설명이다.

 

이호선 한국노인상담센터장은 “50대 남성들은 이 시기에 남성 호르몬이 줄고 여성 호르몬이 늘며 몸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데도 스스로 돌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신체 변화뿐만 아니라 평균 52세에 퇴직이 오는데 이런 사회적 변화를 겪으며 심리적 문제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임종철 디자이너이미지 크게 보기

 

임종철 디자이너

 

전문가들은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50대 중·장년층이 청년과 노년층 사이에 끼어 정부 관리의 사각지대가 됐고 이런 배경이 고독사 증가와 무관치 않다는 얘기다.

 

이 센터장은 “50대가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과 전혀 없다시피 한 관련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50대 남성의 고독사가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며 “관련 문제에 대한 법적 논의와 복지 정책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도 “우리 사회의 고용시장이 너무 빠르게 변하니까 개인이 감당해야 할 부담의 무게가 상당하고 그런 상황에서 50대 남성이 느끼는 상실감은 클 수밖에 없다”며 “실업을 당해도 최소한의 생존이 가능하도록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canelo@, 이예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