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가정 이야기

[스크랩] [가족 男女] 결혼 후 새로운 가족 호칭 어떻게

일산백송 2014. 4. 14. 11:36

[가족 男女] 결혼 후 새로운 가족 호칭 어떻게
젊은층일수록 남편에게 “오빠” “여보”·“○○아빠”가 바람직…시누이 남편은 “아주버님”·“서방님”

신혼부부들은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느라 몸과 마음이 분주하다.
새로 생긴 가족에 대한 호칭 문제를 정리하는 것도 그중 하나일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국어원은 가정에서의 호칭에 관한 표준언어예절을 2011년 말 마련했다.
표준언어예절은 부부간 호칭으로 “여보” “○○씨” “○○아빠” 등이 바람직하고,
결혼 전의 호칭을 그대로 결혼 후에도 사용해 “오빠” “형” “아저씨”라고 부르는 것은
어법에 맞지 않으므로 써서는 안 되며, 서로 “자기”라고 부르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며느리에게는 “어미” “아가”, 사위에게는 “○서방” 등의 호칭을 권한다.
아들딸도 결혼 전에는 이름을 부르지만 결혼 후에는 “아범” “어멈” 등으로 불러야 바람직하다고 제시한다. 며느리들이 혼란스러워하는 시누이 남편 호칭에 대해서도 남편의 형제와 마찬가지로
“아주버님”(남편 누나의 남편) “서방님”(남편 여동생의 남편)이라고 부르도록 돼 있으나
“○○고모부”라는 호칭이 많이 쓰이는 등 현실은 다른 경우가 많다.

한편 여성민우회의 가족 호칭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2007년)에 따르면
아내는 남편에게 “○○아빠”(40%) “여보”(30%) “자기야”(14%) “오빠”(5%),
남편은 아내에게 “○○엄마”(36%) “여보”(35%) ‘이름’(12%) “자기야”(4%) 등을 사용한다.
표준언어예절과 달리 여성은 연령이 낮아질수록 “자기야”와 “오빠”를 많이 사용한다.
연애 때부터 부르던 “오빠”라는 호칭이 익숙해져 결혼 후 애를 낳고도 바꾸기가 어렵다고 한다.

며느리에 대한 호칭은 시부모 모두 “어미야” “아가” ‘이름’ 순이다.
사위에 대한 호칭은 장인은 “○서방”(75%) ‘이름’(9%) 등이고,
장모는 “○서방”(78%) “○○아비”(12%) 등이다.
표준언어예절과 달리 결혼 후에도 아들딸뿐 아니라 며느리와 사위의 이름도 꽤 많이 불리며,
친근감을 이유로 이 추세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름을 부르는 데 대해 ‘아들과 마찬가지로 며느리에게도 이름을 불러 주는 게 좋다’는 의견과
‘함부로 대하는 듯한 느낌이 들어서 싫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본인의 의사를 물어 호칭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며느리는 대다수가 시부모에게 “아버님/어머님”(95%)이라고 부르는 반면,
사위의 경우 “장인어른/장모님”이 55%이고 “아버님/어머님”은 40%다.
남편의 남동생에 대한 호칭은 “도련님/서방님”이 61%, 남편 여동생 호칭은 “아가씨”가 64%로
각각 가장 많다.
이에 대해 시집 식구들은 “도련님/서방님”과 “아가씨”라고 높여 부르고
처가는 “처남” “처제”로 그냥 부르는 것이 불평등하다는 응답이 40% 이상 나왔다.

한국방송통신대 가정학과 성미애 교수는
“호칭은 시대에 따라 사회적 맥락에서 나오는 것인 만큼 원한다면
이름을 부르는 것도 무방하다고 본다”면서
“다만 결혼 후에는 여동생이 아니라 아내인데도 계속 남편을 오빠라고 부르는 것은
불평등하고 자녀들도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서울신문  2014-04-14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