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103세 장병두 선생이 제안하는 음식 건강법
-
과일은 밤에 먹으면 해롭고 공복에 먹어야 좋다.
-
바나나, 고등어, 오징어는 체가 있는 사람에게 해롭다.
-
오리는 중풍에는 좋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해롭다.
-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섞어서 먹으면 심장에 좋지 않다.
-
고구마는 위가 강한 사람에게는 좋지만 위가 약한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
달래는 간장에 넣어 먹는 것이 좋은데 식초가 같이 들어가면 몸에 해롭다.
-
은행을 너무 많이 먹으면 신장에 해롭다.
-
한약을 먹을 때 녹두를 먹으면 약효가 떨어진다.
-
우럭은 맑은 날에 먹으면 몸에 좋지만, 비오는 날에는 피하는게 좋다.
-
염증이 생길 때 생선이나 생고기, 육회는 피하는게 좋다.
-
소뼈를 고을 때 인삼이나 녹용을 같이 넣어서 먹으면 고혈압이 될 수 있다.
-
토끼고기는 열을 내리지만, 생강과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
소고기를 밤과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대신 대추를 몇 개 넣으면 고기의 나쁜 피를 없애준다.
-
소고기, 소의 내장을 개고기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
양 고기를 생선이나 생선회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
소간을 메기와 함께 먹으면 중풍을 일으킬 수 있으니 반드시 피해야 한다.
-
닭고기를 생선과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뱃속이 뭉쳐 응어리가 생길 수 있다.
-
메추리 고기와 돼지고기를 함께 먹으면 안된다. 얼굴에 검은 반점이 생긴다.
-
닭은 메밀국수와 함께 먹으면 안된다. 기생충이 생긴다.
-
닭고기와 토끼고기를 함께 먹으면 안된다. 설사가 날 수 있다.
-
붕어와 돼지고기를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
새우와 돼지고기는 상극이라 함께 먹으면 정력을 해치고 중풍이 올 수 있으니 삼가야 한다.
-
새우와 설탕을 함께 먹으면 안된다.
-
새우와 닭고기를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
기장쌀을 아욱과 함께 먹으면 열과 열이 부딪쳐 병이 나기 쉽다.
-
팥을 잉어와 함께 먹으면 상충이 되어서 좋지 않다.
-
자두와 달걀을 함께 먹으면 상충이 되어서 좋지 않다.
-
대추를 꿀과 함께 먹으면 열과 열이 부딪쳐 좋지 않다.
-
아욱과 엿을 함께 먹으면 안된다.
-
부추를 술과 함께 먹으면 안된다. 위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
-
염부추를 소고기와 함께 먹으면 몸에 응어리가 생긴다.
-
겨자와 토끼고리를 함께 먹으면 안된다. 부스럼이 생긴다.
-
자주 졸고 있는 토끼는 잡아먹지 말라.
-
고기를 삶을 때에는 뽕나무 장작을 쓰지 말라.
-
고기를 삶았을 때 색깔이 변하지 않는 것은 먹지 말라.
-
제철이 아닌 음식이나 과일은 먹지 말라.
-
설익은 과일은 안먹는 것이 좋다.
-
복숭아와 살구가 씨가 두 개인 것은 먹지 말라.
-
표고버섯을 너무 많이 먹으면 병이 난다.
-
대추 잎을 삶아서 차로 마시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
-
연잎 차나 연뿌리는 속이 냉한 사람이 먹으면 좋다.
-
양파와 파는 고혈압과 당뇨, 과열을 없앤다.
-
옥수수 수염은 당뇨를 호전하고 소변을 좋게 보게 한다.
-
복숭아는 니코틴을 제독하는데 효과가 있다.
-
너무 많은 영양식은 통풍과 당뇨 등을 일으킨다.
-
아토피에는 버섯, 돼지고기, 닭고기를 금하는 게 좋고, 화장품과 비누 등 화공성분이 있는 것도 피하는게 좋다.
-
특히 버섯 종류를 (너무 많이) 먹으면 아토피가 심해진다.
-
당뇨에는 밀가루, 술, 설탕 등 당분은 피하는게 좋다. 밀가루, 술, 설탕은 당뇨의 거름이 된다.
-
입 주위에 나는 부스럼에는 꿀을 바르면 좋다.
-
머리에 대(竹)나 돌로 만든 찬 베개를 베면 구안와사가 오기 쉽다.
-
생선을 먹고 식중독에 걸렸을 때는 참기름 한 숟가락을 먹으면 좋다.
장병두 선생의 구술을 채록한 저서 ‘맘 놓고 병 좀 고치게 해주세요'에 발췌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세’ 세계 최고령 英 남성…장수 비결 물으니 돌아온 답이 (0) | 2024.04.08 |
---|---|
항문이 '간질간질'…커피·차·콜라·초콜릿 속 크산틴 성분 때문? (0) | 2024.02.04 |
성격은 몰라도 질병은 안다? A·B형 '당뇨' O형 '위궤양' 주의 (0) | 2024.01.03 |
"우울증 치료 환자 20대가 가장 많아 사회적 해결책 모색" (0) | 2023.12.09 |
[출근길 인터뷰] 잠 못 드는 '수면장애' 환자 100만 명 넘었다 (2)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