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말이 아닌 말

안철수 "문 대통령, 정은경은 찾아가면서 北피격 공무원 아들 안아줄 수 없나 "

일산백송 2020. 10. 15. 10:57

안철수 "문 대통령, 정은경은 찾아가면서 北피격 공무원 아들 안아줄 수 없나 "

김지영 기자 입력 2020.10.15. 08:34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0.12/뉴스1

 

북한군에 의해 피격당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아들의 자필 편지에 문재인 대통령이 보낸 답장의 내용과 형식을 두고

논란이 이는 가운데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청와대의 해명은 "냉혹함 그 자체였다"고 비판했다.

안 대표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 대통령을 향해 "아버지 잃은 어린 학생을 한번 안아 주실 수는 없느냐"며

"눈물의 편지에 대한 대통령의 답장은 너무나 늦었고,

형식과 내용도 학생의 마음을 달래기엔 턱없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기에 청와대가 내놓은 해명은 국민을 더욱 이해할 수 없게 만들었다.

'정상 간 외교 친서도 타이핑 쳐서 보낸다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며 강변하는 청와대 관계자의 모습은

인간에 대한 예의도, 유족에 대한 위로나 아픔에 대한 공감은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냉혹함 그 자체"라고 평가했다.

안 대표는 "아버지의 참혹한 죽음으로 충격에 싸여있을 고2 학생에게, ‘아드님’으로 시작하는 의례적이고 형식적인 건조한 답장만 보낸 것을 두고 많은 국민들이 착잡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그냥 대통령께서 전화 한 통 하셔서, 한 점 의혹 없이 진실을 밝히겠다, 아빠를 죽인 자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위로했으면 좋았을 텐데 그것이 그렇게도 어려웠나"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농사 지으러 양산 가시는 길에 들러 꼬옥 한 번 안아 주시면 좋았지 않았겠나? 바쁜 사람 부를 수 없다며 정은경 청장에게 직접 찾아가 임명장을 주셨던 그 정성을, 왜 아비 잃은 어린 국민에겐 보여 주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돌아가신 분을 살릴 수는 없지만 철저한 조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낼 수는 있다. 이것을 북한에게 강조하고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며 "그게 국가의 기본자세"라고 주장했다.

또 "부모님 잃은 고통을 온전히 치유할 수는 없어도, 대통령께서 위로와 공감과 책임자 처벌 의지를 보이시는 것만으로도 그 학생은 다시 일어설 힘을 낼 것"이라며 "고통받는 어린 국민도 감싸지 못하는 어깨가, 5000만 국민과 7000만 겨레의 운명을 짊어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통령이기 이전에 ‘사람이 먼저다’인 인권변호사로서, 자식을 둔 아버지의 심정으로, 그리고 힘들더라도 대통령직이 갖는 무한 책임을 생각하며 지금이라도 부모 잃은 그 어린 학생의 마음을 따뜻하게 어루만져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김지영 기자 kjyou@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