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암-- 이야기

[스크랩] [癌을 이기는 식탁]암 때문에 위 잘라낸 60대 “식탁에서 암 잡아”

일산백송 2014. 2. 7. 11:12

“제철 자연재료가 최고의 항암제”… 식탁에서 癌을 잡자

 

 

《 2007년 위암4기 소견으로 위 전체와 식도 일부까지 제거수술을 받은 백모 씨(65·충남 천안시). 그는 요즘 “더 젊어졌다”는 소리를 듣는다. 거무스레했던 얼굴이 수술 후에 뽀얗게 됐다. 검버섯까지 없어졌다. 체중도 64kg에서 큰 변화가 없다. 아침저녁으로 운동하는 데도 전혀 문제가 없다. 그는 비결에 대해 자신 있게 “식탁의 변화”라고 했다. 지난달 24일 그의 저녁밥상을 들여다 봤다. 된장국에 연근·고등어조림, 멸치 볶음, 김치. 여느 가정집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백 씨는 “눈에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

된장국(4인 기준)에는 된장 분량을 한 큰 술에서 반 큰 술로 줄였다. 싱거운 맛을 보완하기 위해 마늘과 파 등 천연향신료를 조금씩 더 넣었다. 싱거운 느낌이 들지 않았다.

생선은 등이 푸른 것만 상에 올린다. 조림도 소금 대신 나트륨은 적지만 짠맛이 나는 간장을 사용했다. 밥은 현미에 잡곡을 섞었다.



수술 후 5년 동안 꾸준히 병원에서 정기검사를 받아온 그는 지난달 담당의사로부터 ‘이젠 더 찾아오지 말라’는 말을 들었다. 백 씨는 “밥상에 가정의 행복이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에서 ‘건강 밥상’을 실천하고 있는 이가희 씨(49·여)가 장을 보는 데도 따라 나섰다. 그는 집에서 가까운 대형할인마트 대신 지역 생활협동조합이 운영하는 가게를 찾는다. 친환경유기농산물이 많은 곳이다. 채소는 무농약인증 이상, 축산물은 무항생제, 장류는 국내산 100%, 냉장신선식품은 1차 가공식품만이 있다. 그는 “식음료 회사마다 참살이 식품으로 가는 추세이지만 항생제와 가공식품, 첨가물이 여전히 무섭다”며 “가족의 건강을 검증된 가게에서 찾는다”고 했다.

암이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한 지는 벌써 오래다. 2010년 국내 사망자 25만5000여 명 가운데 7만2000여 명이 암으로 세상을 떴다. 해마다 암 발생자 수도 늘어 1999년 10만1000명에서 2009년에는 19만2000명으로 갑절 가까이로 증가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한국인 중 평균수명 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명 중 1명이라고 한다. 누구나 암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하지만 치료를 포기할 순 없다. 갈수록 치료법이 발달하고 완치율도 높아졌지만 발병하는 순간 좌절하기 일쑤다. 예방이 먼저다. 암 예방과 치료를 위해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 10%라도 줄여야 하는 식품


조미정 씨(46·여)는 지난달 29일 서울 광진구의 한 음식점에서 저녁식사 후 복통을 호소했다. 그는 “찌개에 넣은 햄과 소시지 베이컨 때문인 것 같았다”고 말했다. 신선하게 보이도록 사용된 합성착색료와 방부제(보존료) 발색제 등 첨가물이 때마침 위가 약한 조 씨를 자극했기 때문이다. 건강을 위협하는 독소 식품은 수를 헤아릴 수 없다. 식당에서 마구잡이로 사용하는 합성감미료, 초등학교 앞에서 여전히 인기 있는 사탕과 단맛 나는 과자, 탄산음료.

1997년 말 외환위기로 거리에 몰린 실직자들은 너도나도 프라이드치킨 가맹사업에 몰렸으나 지금은 기름이 많아 부담스러운 대상이 되고 있다.

식품산업의 먹이사슬을 해부한 ‘독소’의 저자 윌리엄 레이몽은 독소식품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또 다른 저서 ‘Toxic Food(독소식품)’에서 독소식품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독소식품을 거부하는 것은 일종의 시민저항이다. 그 싸움에 세계 각국의 운명이 걸려 있다”고 강조했다. 또 “기표소에서 한 표를 행사해 정치에 압력을 가하는 것처럼 독소식품업계를 응징할 또 다른 무기는 소비자가 지갑을 열지 않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10% 늘리면 좋은 식품


최근 한 TV방송에서 ‘구석기인처럼 살아라’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영국 의학계가 선보인 구석기 식단을 소개한 바 있다. 수렵·채집시대 인류가 먹었던 것처럼 신선한 채소와 과일 섭취를 강조했다. 또 구석기 식단이 당뇨와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소개했다.

사찰음식 연구가인 선재 스님은 여러 저서에서 최소한의 양념으로 버무린 제철 자연요리가 몸속 독소를 배출한다고 했다.

건강에 좋은 곡류와 제철 채소 및 과일, 그리고 식사시간을 늘리는 것은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다. 밥상을 바꿔 암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에는 이제 사회적 합의가 이뤄졌다.

일본의 경우 2005년 ‘식육기본법’이 제정되면서 ‘건강일본 21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프랑스의 ‘어린이 미각조리개발 프로젝트’도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식생활 개선을 위해 2009년 11월 ‘식생활교육지원법’이 만들어져 범국가적 식생활교육으로 전개되고 있다.

사단법인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황민영 상임대표는 “먹는 것을 바로 세우는 식생활교육은 우리 시대의 핵심과제이자 책무”라며 “올바른 식습관은 국가 번영과 국민 복지의 기틀”이라고 말했다. 식탁이 바뀌어야 삶이 바뀐다는 얘기다.

[동아닷컴 / 이기진 기자.·한중양식조리기능사]

 

출처 : 그게 사실은...
글쓴이 : 證人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