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집값 전망도 ‘상승’보다는 ‘하락’이 우세...
7월 10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거주 지역 주택 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5.9%가 ‘하락’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상승(31.9%)’ ‘보합(22.2%)’ 순이었다.
여전히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자가 많았으나, 지난해 말 2023년 집값 전망을 조사했을 때 77.7%가 하락 전망한 것을 고려하면 하락 전망 비율은 약 31.8%포인트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 상승은 10.2%, 보합은 12.1%였다.
직방 측은 “하락 전망이 지배적이었던 지난해 말 시장 분위기와는 달라진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거주 지역별로 보면 지방 거주자의 48.2%가 하락을 전망해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47.7%), 인천(46.2%), 지방 5대 광역시(45.3%), 경기(44.3%) 등이 뒤를 이었다.
주택 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에 대해서는 ‘경기 침체 지속(32.5%)’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또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 ‘금리가 높다는 인식’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각각 23.7%, 18.7%였다. 이 밖에 ‘전셋값 약세로 인한 매매 매물 증가(11.5%)’ ‘신규 입주 물량 증가(6.5%)’ ‘급매물 거래 후 수요 심리 위축(5.2%)’ 등의 답변이 나왔다.
반대로 주택 매매 가격 상승을 점친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저점 바닥 인식론 확산 기대’가 20.7%로 답한 이가 가장 많았다. 정부 규제 완화(20.1%), 금리 인상 기조 둔화(15.4%)가 뒤를 이었다. 이 밖에 매물 거래로 인한 실수요 유입(11.9%), 경기 회복 기대(11.3%), 전셋값 회복 조짐으로 매매 상승 기대(7.5%) 등의 답변이 나왔다.
거주 지역 주택 전세 가격에 대한 질문에서도 ‘하락’이 45.6%로 비교적 우세했다. ‘보합’과 ‘상승’은 각각 27.8%, 26.6%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별로 나눠보면 지방 5대 광역시 거주 응답자의 54%가 전세 가격 ‘하락’을 점쳤으며, 이어 경기(46.2%), 인천(43.1%), 지방(42.4%), 서울(42.3%) 순이었다.
전셋값 하락을 예상하는 이유로는 27.6%가 ‘전세 사기,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 확대’를 꼽았다. 또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25.7%)와 최근 몇 년간의 전셋값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9.1%) 등도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직방 제공)ⓒ 매일경제 & mk.co.kr,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인가족 30평 관리비가 57여만 원... 나만 이래요? (1) | 2024.02.04 |
---|---|
오피스텔, 주택 수 제외되나···내년 '다주택' 제외 기대감↑ (0) | 2023.12.12 |
서울시, 공공·민간 아파트 현장 긴급 점검…강도·철근 등 전방위 확인 (0) | 2023.07.09 |
GS건설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책임 통감…입주 지연 보상, 비금전적 지원" (0) | 2023.07.05 |
'주차장 붕괴' 검단 아파트, 5000억 들여 17개동 새로 짓는다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