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가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청와대 이전 계획에 우려를 표하며 ‘용산 집무실’ 구상에 사실상 제동이 걸리자 윤 당선인 측이 “정부 출범 직후 통의동에서 시급한 문제를 처리해 가겠다”고 맞섰다.
5월10일 용산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하기 어렵다면 대신 현재 인수위원회 사무실이 있는 통의동에서 집무를 시작해서라도 ‘청와대는 들어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저녁 언론 공지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이 가장 대표적인 정권 인수인계 업무의 필수사항에 대해 협조를 거부하신다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안타깝다”면서도 “윤 당선인은 통의동에서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바로 조치할 시급한 민생문제와 국정 과제를 처리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5월 10일 0시 부로 윤 당선인은 청와대 완전개방 약속을 반드시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뒤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며 용산 이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어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은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에 따라 취임과 동시에 ‘용산 집무실’ 시대를 열겠다는 윤 당선인의 구상은 사실상 현실화가 어려워졌다. 문 대통령이 퇴임 때까지 청와대 이전 예비비 지출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용산 이전은 윤 당선인이 취임한 이후에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윤 당선인측은 이럴 경우 취임 이후 용산 이전 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약 두달 간 청와대가 아닌 통의동 집무실에서 직무를 수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다만 인수위 사무실은 청와대 등과 달리 경호가 취약해 대통령으로서 집무 시작이 실제로 가능할지, 용산 이전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아직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윤 당선인이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했으니 약속을 지키겠다는 것”이라면서 “국방부 청사에 가지 말라고 하면 인수위 사무실에 있으라는 이야기인데, 통의동 사무실은 방탄유리가 아니다”라며 “경호 공백 문제는 어떻게 책임질 것이냐”고 반문했다.
허은아 수석대변인은 “새 정부의 결단과 계획을 응원해주지는 못할망정 예비비 편성부터 못해주겠다는 발상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도 성명을 내 “군사대비태세 유지의 핵심은 합동참모본부이기 때문에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로 이전해도 안보 공백은 없다. 있지도 않은 안보 공백을 언급하며 새 정부 추진 정책을 방해하는 건 대선 불복”이라고 문 대통령을 비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