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미국 이야기

美 '올림픽 보이콧' 고려, 北 참가자격 박탈..평화이벤트 '적신호'

일산백송 2021. 11. 19. 12:06

美 '올림픽 보이콧' 고려, 北 참가자격 박탈..평화이벤트 '적신호'

김서연 기자 입력 2021. 11. 19. 10:27 수정 2021. 11. 19. 10:42 
美대통령 언급..외교적 보이콧시 선수단만 파견
올림픽 계기 종전선언 등 남북 대화재개 구상 차질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내년 2월에 개최된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서울=뉴스1) 김서연 기자 = 미국 정부가 오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diplomatic boycott)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이콧이 결정된다면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 계기로 삼으려는 정부의 구상에도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뒤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우리가 고려하는 게 있다"고 답했다.

이는 그동안 조야에서 제기된 미 정부의 올림픽 보이콧 가능성을 직접 언급한 것이다.

통상 올림픽 개막식에는 전 세계에서 참여하는 선수들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각국이 관례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한다.

외교적 보이콧을 할 경우엔 선수단은 파견하되 공식 사절단은 보내지 않는다.

우리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교착된 남북 관계의 개선 기회로 삼겠다는 구상을 꾸려 왔다.

올림픽을 계기로 종전선언 등 남북관계 개선과 북미대화의 선순환을 통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 교류협력으로 이어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을 모색하겠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도쿄 하계올림픽에 불참을 이유로 지난 9월 북한의 베이징 올림픽 참가 자격을 박탈한 상황에서 미국의 불참까지 이어지면, 정부가 추진하는 '평화 이벤트' 동력은 힘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중국의 상황, 북한의 의지, 미국의 보이콧 가능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한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은 어려워 보인다고 진단했다.

북한이 올림픽에 참가하려면 적극적으로 참여 의사를 표시하고, 코로나19 확진자가 한 명이라도 나올 경우 지역 전체를 봉쇄하는 '제로(0) 코로나 정책'을 시행 중인 중국이 이를 적극 지지하며 IOC까지 설득해야 하는 절차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임 교수는 정부가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고 원론적으로 얘기할 순 있지만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면서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변수는 북한이 종전선언까지도 혹시 모르겠다면 적극적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할 경우 미중 갈등 악화에 따른 외교적 부담도 우려되는 부분 중 하나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삼으려 하지만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다"면서

"미중 정상회담은 갈등 봉합이 아니라 더 확장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이 오는 12월에 개최하는 세계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중국 대신 대만을 초청한 점도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는 한미 등 종전선언 협의를 긍정적으로 표현하지만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의 발언이나

한미일 3국 외교차관 공동 기자회견 등의 배경을 보면 "미국은 종전선언에 전적으로 응하지 않고 있다"고 평했다.

우리 정부가 종전선언을 추진하기에 좋지 않은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반대로 종전선언 논의가 깊어짐에 따라 베이징 올림픽에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미 간 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되고 북한에 제안하는 과정이 이어진다면 굳이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삼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한편 당국 관계자는 "미국의 입장이 결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주시하겠다"면서

"정부의 기본 입장은 베이징 올림픽 등을 포함한 주요 경기가 남북 스포츠 교류 및 신뢰 프로세스 개선에서 주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라고 말했다.

sy@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