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형태 바뀐다…6년 뒤엔 싱글 패밀리가 최다
시간 2014-09-22 08:43
[앵커]
엄마 아빠, 그리고 자녀.
교과서에 등장하는 가족의 모습입니다.
2010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3분의 1이 넘는 37%가 이런 부부와 자녀 형태의 가족이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가족 형태가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6년 뒤인 2020년이면 이런 부부 자녀 가구가 28.4%로 줄고,
2035년에는 20.3%로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그럼 6년 뒤 가장 보편화된 가족 형태는 어떤 것일까요?
바로, 1인 가구였습니다.
2010년 23.9%를 차지했던 1인가구가 6년 뒤에는 부부 자녀 가구 수를 앞서고
2035년에는 34.3%로 대세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아이를 갖지 않는 부부 가구도 조금 늘어납니다.
2010년에는 18.6%, 2035년에는 22.7%가 될 거라고 합니다.
지금경제와 복지, 교육 정책은 부부와 자녀가족 형태를 전제로 만들어져 있죠.
6년 뒤 이 정책들이 이 겉돌지 않으려면 변화하는 가족형태에 대한 반영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YTN & YTN PLUS -
'가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매매집결지 전국 44곳..男 56.7% "성구매 경험있다" (0) | 2014.09.30 |
---|---|
결혼 말고 '동거'를 하는 사람들 (0) | 2014.09.26 |
'신체마비 남편' 십수년 병간호하던 아내의 선택은 (0) | 2014.09.19 |
부부·가정 고민-결혼 전부터 가족 같은 남자친구 (0) | 2014.09.18 |
"직장인 한 달 평균 경조사비로 16만원 지출" (0) | 201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