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일본 이야기

일본 언론도 초미의 관심…관련 보도 쏟아내

일산백송 2020. 5. 22. 11:14

경향신문

일본 언론도 초미의 관심…관련 보도 쏟아내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입력 : 2020.05.21 11:01 수정 : 2020.05.21 21:09

 

“대일 정책 바뀌나” “정의연 운영 문제” 보수·진보 시각 차이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주요 신문들이 21일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 부정 의혹에 대한 한국 검찰의 수사 착수 소식을 전하며 정의연 전 이사장인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당선인의 사진을 실었다. 연합뉴스

 

검찰이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 부정 의혹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자,

일본 언론들은 이번 사건이 한·일관계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다.

일본 주요 언론들은 21일 한국 검찰이 전날 정의연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는 소식을 상세히 보도했다.

 

보수 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은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당선인을 두고

“총선에서 좌파 계열 여당 비례대표로 당선됐으며 정계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며

“의혹이 사실로 입증되면 윤씨를 공천한 좌파계 여당 더불어민주당과 피해자 중심주의를 외치며

정의연 주장에 동조해 온 문재인 대통령도 타격을 피할 수 없다”고 했다.

 

도쿄신문은 윤 당선인이 2015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합의를 비판한 이력을 소개하면서

“문재인 정권은 윤씨의 의향을 받아들여 사실상 합의를 파기한 만큼 정권의 대일정책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반면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은 최근 한반도 전문가인 기무라 간(木村幹) 일본 고베대 교수의 말을 인용해

“어디까지나 정의연의 운영을 둘러싼 문제”라며 “단기적으로는 이것이 일·한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했다. 그는 “자금관리 문제가 명확해지더라도 이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의 위상이 바뀔 리는 없다”면서도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의 의견을 대변한다’는 구조가 바뀌어 앞으로는 징용 문제처럼 위안부 피해자 자신이나 유족 등 ‘당사자’가 주도하는 상황이 될지 모르겠다”고 했다.

 

극우 언론에서는 이번 일을 빌미 삼아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해 반대한다는 주장을 폈다.

산케이신문은 전날 ‘위안부 단체 반일집회 그만두고 소녀상 철거를’이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반일 증오의 상징인 ‘위안부 동상(평화의 소녀상)’을 즉시 철거해주길 바란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