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슬픈 이야기

화력발전소에서 홀로 설비 점검하던 24살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일산백송 2018. 12. 13. 07:08

서울신문
화력발전소에서 홀로 설비 점검하던 24살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입력 : 2018-12-11 21:52 ㅣ 수정 : 2018-12-11 22:03

사진은 고 김용균씨가 지난 1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인증샷 릴레이에 동참해 인증사진을 찍은 모습. 이후 김씨는 석탄을 나르는 컨베이어벨트를 홀로 점검하다가 벨트에 끼어 목숨을 잃었다. 발전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 사진은 고 김용균씨가 지난 1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인증샷 릴레이에 동참해 인증사진을 찍은 모습. 이후 김씨는 석탄을 나르는 컨베이어벨트를 홀로 점검하다가 벨트에 끼어 목숨을 잃었다. 발전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나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 설비를 운전하는 비정규직 노동자입니다.”

안전모와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김용균(24)씨가 들고 있던 손팻말에 적힌 짤막한 자기소개글이다.
김씨는 지난 1일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는 인증샷 릴레이에
동참했다. 이 인증사진이 김씨가 남긴 마지막 사진이 되어 버렸다.
김씨는 홀로 설비를 점검하다가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목숨을 잃었다.

한국서부발전은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의 석탄 운송설비에서 한국발전기술 소속 현장운전원인 김씨가
11일 오전 3시 23분쯤 숨진 채 발견됐다고 밝혔다.

김씨는 전날 오후 6시쯤 출근해 석탄을 나르는 컨베이어벨트를 홀로 점검했는데,
같은 날 밤 10시쯤 이후부터 연락이 끊겼다.

사고 신고 접수 후 경찰은 이날 오전 4시 45분 현장에 도착했고,
약 1시간 뒤인 오전 5시 37분엔 고용노동부 보령지청이 컨베이어벨트에 대해 작업중지 명령을 내렸다.

이달로 입사 3개월차였던 김씨는 1년 계약직 비정규직 노동자였다.
1년을 일하면 정규직 사원으로 전환되는 조건이었다. 그리고 충남 태안화력발전소는 그의 첫 직장이었다. 

그런데 그가 일한 곳은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이지만, 그가 속한 곳은 한국발전기술이라는
외주 하청업체였다.

김씨가 일했던 업무는 원래 정규직 사원이 하던 업무였고, ‘2인 1조’ 근무가 원칙이다.
그러나 발전소의 구조조정에 따른 인력 부족으로 1인 근무 체제로 돌아가고 있었다.
실제 현장 조사 결과 김씨가 근무할 당시 2인 1조 근무규정은 지켜지지 않았다.

민주노총(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김씨의 죽음을 애도하는 성명을 통해
“그를 죽인 것은 돌아가는 컨베이어벨트가 아니다. 위험의 외주화, 비정규직화, 1인 근무가 그를 죽였다. 

사고의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한국발전기술 지회가 이날 공개한 ‘태안 화력발전소 하청노동자
주요 안전사고·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까지 태안화력발전소에서는
모두 12명의 하청노동자가 추락·매몰·전복사고와 김씨와 같은 협착사고 등으로 세상을 떠났다.

석탄을 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는 사고 위험이 높은 시설에 속한다.
이 시설을 점검하는 일을 입사 3개월차인, 숙련되지 않은 노동자에게 맡긴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경찰과 함께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박용훈 근로감독관은 “하도급 회사들은 수익구조가 열악하다 보니 인력을 줄여 운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면서 “회사의 법규 위반 여부에 중점을 두고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문 대통령에게 면담을 촉구하기 위해 

‘비정규직 공동투쟁’ 소속 비정규직 대표자 100인이 연 기자회견은 김씨의 사망 소식에 분위기가 숙연했다.

발전비정규직연대회의의 이태성 간사는
“이제 더는 제 옆에서 죽어가는 동료의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면서
“문 대통령은 새해 초에 국민 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를 얘기했는데 하청노동자인 우리도 국민이다.
비정규직과 대화해달라”고 흐느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