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용접 명장이 퇴직후 수지침을 배운 까닭은?
박영재 입력 2018.04.09. 09:00 수정 2018.04.09. 09:22
━
[더,오래] 박영재의 은퇴와 Jobs(18)
김영섭(72) 씨는 대전 근처에 있는 대기업에서 생산직 사원으로 근무했다. 용접 솜씨가 뛰어나 명장 호칭도 받았고, 나름 성실하게 생활했다. 퇴직 후에는 본인이 가진 용접기술을 젊은 직원들에게 전수하는 재미로 집 근처에 있는 작은 공장에서 근무했다. 대기업에서 근무하다 중소기업에 적응하려니 쉽지만은 않았다. 2년 만에 퇴직하고, 무력하게 집에만 있다가 집 주변 공원관리업무를 하면서 소일하고 있었다.
퇴직 후 공원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지침 단체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을 보고 본격적으로 수지침을 배우기 시작한 김영섭(72)씨. (내용과 연관없는 사진) [중앙포토]이미지 크게 보기
퇴직 후 공원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지침 단체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을 보고 본격적으로 수지침을 배우기 시작한 김영섭(72)씨. (내용과 연관없는 사진) [중앙포토]
65세가 되었을 때 수지침을 접하게 됐다. 공원에서 소일하고 계신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지침 단체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데, 수지침을 시술하는 자원봉사자가 김 씨 연배의 여성이었다. 호기심으로 이야기를 해 보니 이 분도 원래 한의학을 전공한 것은 아니고 뒤늦게 배워서 이렇게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모습이 좋아 보여서 봉사자로부터 자세한 안내를 받고 본격적으로 수지침을 배우기로 했다.
김 씨가 거주하는 대전에서 분당에 있는 학원으로 매주 한 번씩 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1년을 배웠다. 이 과정에서 부인이 가장 큰 반대를 했다. “아니 다 늙어서 그런 것을 배워 뭐에 쓸 거냐?”며 타박을 했다. 하지만 김영섭 씨는 수지침을 배우는 과정이 너무 좋았고, 신이 났다.
수지침을 배운 후에 가장 큰 수혜자가 부인이다. 평소에 관절염을 앓았는데, 수지침이 관절염 치료에는 효과가 탁월했다. 수지침을 부인에게 시술하는 과정에서 젊었을 때보다 많은 대화를 할 기회가 생겨 부부 관계도 돈독해졌고, 또 부인도 은근히 주변 친구들에게 남편 자랑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몇 년을 하게 되니 임상경험도 쌓였고 실력도 많이 늘었다. 경로당이 되었건, 노인 대학이 되었건 김 씨는 항상 모든 활동에서 중심에 있게 됐다. 뒤늦게 배운 수지침이지만 이 덕분에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지내고 있고, 또 80세, 90세까지 활동할 수 있어 매우 만족한다.
그런데 친한 친구인 이영호(72)씨가 욕심을 부린다. 6개월 전부터 김 씨와 똑같은 경로로 수지침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 씨는 “아니 내 친구는 65세에 새로운 것을 배워서 이렇게 멋지게 살고 있는데, 65세나 72세나 차이가 뭐야! 나도 이제부터 잘 배워서 남에게 봉사하면서 멋있게 100세까지 살거야!”라고 말했다.
━
신중년 반퇴자의 딜레마 '고령화'
대한민국의 신중년 반퇴자들은 주된 직장에서 튕겨 나와 제대로 준비가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30~4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중앙포토]이미지 크게 보기
대한민국의 신중년 반퇴자들은 주된 직장에서 튕겨 나와 제대로 준비가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30~4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중앙포토]
지금 대한민국의 신중년 반퇴자들은 매우 큰 딜레마에 빠져있다. 1980~1990년대 고도성장 시기를 거치면서 그 누구보다도 당당하고 풍요롭게 살았지만 1997년에 IMF를 겪었고, 2008년에는 국제금융위기에 흔들렸다. 이제는 주된 직장에서 튕겨 나와 제대로 준비가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30~4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유엔이 2009년 발표한 ‘세계인구 고령화’ 보고서에서는 호모 헌드레드(homo-hundred)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소수의 사람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100세 장수시대가 보편화되면서 현 인류 조상을 호모 사피엔스(homo-sapiens)라고 부르는 것을 차용한 용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수명이 80세를 넘는 국가가 2000년에는 6개국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31개국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고령화 문제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에서도 커다란 고민거리다.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고 사회 전체적인 시스템의 변화도 요구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그 누구도 이것에 대한 경험이 없다는 사실이다.
전통적인 3단계의 삶. [그래픽 박영재]
런던 경영대학원 교수 린다 그래튼과 앤드루 스콧은 그들의 저서 ‘100세 인생’에서 다단계의 삶에 관해서 이야기했다. 전통적인 개념인 '교육-일-퇴직'으로 이어지는 3단계의 삶은 끝났다는 것이다. 필자도 1980년대 후반부터 직장생활을 했는데, 그때 정년퇴직하는 선배는 퇴직하고 10년 또는 20년 살고 돌아가셨다. 지금 생각해 보면 아주 심플했다.
하지만 지금은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요즘은 30세 전후해서 직장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길어야 25년에서 30년 일하고, 주된 직장에서 퇴직하게 된다. 그러면 아마도 나이가 50대 중반에서 60세쯤 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퇴직 후에 지내야 하는 시간이 너무도 길다.
고령화 시대의 삶. [그래픽 박영재]
60세에 정년퇴직을 했어도 퇴직 후 30년에서 40년은 더 시간을 보내야 한다. 따라서 퇴직자는 퇴직 후에도 새로운 커리어를 개발해 제2의 삶을 살게 된다. 문제는 60세 전후해 시작한 제2의 인생이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다양한 사회, 문화적인 변화와 본인의 사정으로 어느 시점에서는 제3의 인생을 준비해야 한다. 물론 이 시점이 내가 70세일 수도 있고, 75세일 수도 있다. 이제는 단순했던 3단계의 삶이 아닌 다단계의 삶을 영위할 가능성이 커졌다.
다단계의 삶. [그래픽 박영재]
━
제2 인생 커리어 개발을 위한 '전환기' 필요
퇴직 후에 새롭게 제 2의 인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커리어를 개발하기 위한 '전환기'가 필요하다. [중앙포토]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퇴직 후에 새롭게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커리어를 개발하기 위한 '전환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시기에 나를 돌아보고, 나를 분석하고, 내가 어떤 일을 하면 행복하겠는가를 정확하게 알고 목표를 세워야 한다. 목표가 수립되면 그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한다. 교육이 필요하면 교육을 받고, 학위가 필요하면 공부를 해야 하고, 새로운 인맥이 필요하면 사람들을 새롭게 만나야 한다.
이 기간은 개인별로 천차만별이다. 이 전환기는 너무나 힘들다. 기존에 나에게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전혀 모르는 것에 노출되는 것이고, 내 직업을 바꿔야 하고, 과도기를 겪고 있는 나에 대한 불신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환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제2의 인생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게 되면 퇴직 후 나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은 크게 향상되고, 멋진 인생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박영재 한국은퇴생활연구소 대표 tzang1@naver.com
'최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X 진상 승객 제압한 공무원, 알고 보니 김부겸 장관 (0) | 2018.05.21 |
---|---|
세계 군사력 순위…미국 1위, 북한 23위, 한국은? (0) | 2018.05.05 |
[공직자 재산공개] 김병관 2756억 불려 4435억 최고 갑부 (0) | 2018.03.30 |
VIP와 사진 찍히면 '스튜핏' 잘 숨어야 '그뤠잇' (0) | 2018.01.27 |
새해 여는 종소리, 보신각종 만든 사람은 누구? (0) | 2017.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