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결혼 이야기

[스크랩] 연상女-연하男 결혼 역대 최다..동갑커플만큼 많아져

일산백송 2014. 4. 22. 13:01
연상女-연하男 결혼 역대 최다..동갑커플만큼 많아져
http://media.daum.net/v/20140422120208706

출처 :  [미디어다음] 경제일반 
글쓴이 : 연합뉴스 원글보기
메모 : 초혼연령 32.2, 29.6세…서울·부산 30세 넘어

국제결혼 확 줄고…결혼 20년차 이상 이혼 급증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여자의 나이가 더 많은 '연상연하 커플'의 혼인 건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32.2, 여자 29.6세로 또다시 높아졌다.

서울과 부산, 제주 여자 초혼연령은 30세를 넘어섰다.

통계청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3년 혼인·이혼통계'를 발표했다.

'연상연하' 결혼 41천건…역대 최다 기록
지난해 전체 혼인건수는 322800건으로 전년(327100)보다 4300(1.3%) 줄었다.

2012년에 이어 2년째 전년 대비 감소세다.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도 6.4건으로 전년(6.5)에 비해 0.1건 감소했다.
초혼부부 중 여자가 연상이고 남자가 연하인 '연상연하 커플' 혼인 건수는

41300건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가장 많았다.
남자가 연상인 부부의 혼인은

모두 172800, 동갑내기 부부의 혼인은 41400건이었다.
구성비로 보면 남자 연상 부부가 67.6%, 여자 연상 부부가 16.2%, 동갑내기 부부가 16.2%.
남자 연상 부부 비중은 역대 최저, 여자 연상 부부 비중은 역대 최고를 기록해 격차가 좁혀졌다.

여자 연상 부부가 동갑내기 부부 비중을 따라잡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32.2, 여자 29.6세로 전년에 비해 각각 0.1세와 0.2세씩 상승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는 2.1, 여자는 2.3세 많아졌다.
남자 초혼 연령은 2003 30세를 처음으로 돌파한 뒤 이제는 주 혼인 연령이 30대 초반으로

완전히 이동한 모습이다. 여자 초혼 연령도 서울과 부산, 제주에서는 이미 30세를 넘었으며,

전반적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보인다.
평균 재혼연령은 남자 46.8, 여자 42.5세로 전년에 비해 각각 0.1세와 0.2세 상승했다.

20년차 이상 부부 이혼 최다…'황혼이혼' 10년새 1.8
지난해 이혼은 115300건으로 전년보다 1천건(0.9%) 늘어났다.

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인 조이혼율은 2.3건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배우 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인 유배우 이혼율 4.7건이다.

지난해 부부 100쌍당 1쌍 꼴로 이혼한 셈이다.
평균이혼연령은 남자 46.2, 여자 42.4세로 전년에 비해 각각 0.4세씩 많아졌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녀 모두 매년 상승하고 있다.
이혼 부부의 평균 혼인 지속기간은 14.1년으로 전년 대비 0.4, 10년 전 대비 2.2년 길어졌다.
전체 이혼 건수 중 혼인한 지 20년 이상 된 부부의 이혼 비중이 28.1%로 가장 컸다.
2011
년에는 결혼 4년차 이하 이혼이 3700, 20년차 이상 이혼이 28300명으로 4년차 이하 이혼이 가장 많았으나 2012년 이후 수치가 역전돼 20년차 이하 이혼이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혼인기간 30년 이상 부부의 '황혼 이혼' 9400건으로 전년보다 98.4%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30년차 이상 부부의 이혼은 10년새 1.8배로 늘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은 59천건으로 전체 이혼의 51.2% 정도였다.

이는 10년 전보다 17.3% 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협의이혼은 88600건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했지만 재판이혼은 26600건으로 전년대비 2.7% 줄었다.
남자는 연령별 1천명당 이혼율이 40대 후반에 9.9건으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40대 초반에 10.2건으로 최고 수치를 보였다.

◇ 한국-외국 결혼 확 줄었다…전년 11% 감소
지난해 외국인과의 혼인은 26천건으로 전년대비 2400(8.3%) 감소했다.

전체 혼인건수 전년대비 감소 4300건의 55%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혼인이 18300건으로 전년대비 11.3% 줄었다.

한국 여자와 외국 남자의 혼인은 7700건으로 0.4% 감소했다.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등이 국제결혼 중개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결혼 이민 비자발급 심사를 강화하는 등 건전화 정책을 펴면서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혼인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국 남자와 결혼한 외국 여자의 국적은 중국(33.1%)이 가장 많았고, 베트남(31.5%), 필리핀(9.2%) 순이었다. 한국 여자와 결혼한 외국 남자의 국적은 미국(22.9%), 중국(22.6%), 일본(17.8%)이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혼인은 경기(23.9%), 서울(17.6%), 경남(6.0%)에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외국인 부부의 이혼은 1500건으로 전년대비 3.7% 감소했다.


charg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