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사일 쳐다만 본 日..요격 안 한 걸까, 못 한 걸까
김흥수 기자 입력 2017.08.29. 20:35
<앵커>
일본은 현재 우리 군에 없는 미사일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바다에서는 이지스함의 SM-3 요격 미사일,
또 지상에서는 패트리엇-3 요격 미사일로 방어하고 있습니다. 특히 SM-3 요격 미사일은
요격 가능 고도가 500km로 오늘(29일) 일본 상공을 지난
북한 미사일에 대해서도 요격을 시도해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본은 가만히 있었습니다.
요격을 안 한 건지 아니면 못한 건지
김흥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일본은 이지스함 6척 가운데 5척에 SM-3 요격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SM-3는 표적 미사일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상승 단계에서는
예상 궤적을 추적 분석한 뒤 미사일의 속도가 가장 느려지는
정점과 직후 하강 단계를 포착해 요격을 시도합니다.
오늘 북한이 쏜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지날 때
정점 고도를 찍은 것으로 분석됐지만,
이때 고도는 요격 고도를 벗어난 550여km였습니다.
[김동엽/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할 때 이미 요격 가능 고도를 벗어났고 무리한 요격을
시도했다가 실패할 경우도 고려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영토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아 미사일 파괴조치
명령을 내리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노데라 이쓰노리/일본 방위상 : 일본을 향해서 날아오는 게 아니라는 판단을 했기 때문에 탄도미사일이라도 파괴지시를
내리지 않았습니다.]
북한 입장에서도 무력시위의 효과는 극대화하면서도
요격당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미사일의 고도와 사거리를 세밀하게 설정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
김흥수 기자domd533@sbs.co.kr
'일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가 끊은 종묘~창경궁 88년만에 잇는다 (0) | 2017.09.27 |
---|---|
日 관광객 때문에 '골치'..관광세 징수 검토 (0) | 2017.09.17 |
ㅣ극심한 고령화 먼저 겪은 일본, '이것' 서둘렀다 (0) | 2017.08.27 |
이력서 아무리 내도 막혔던 일자리, 일본 가니 뚫렸다 (0) | 2017.08.23 |
새 차 받았더니 녹이 '한가득'..日 혼다, 전수조사 착수 (0) | 2017.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