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가족해체' 빨라지고 있다
병수발 70대 노인이 아내를, 중산층 가장이 두딸을…“지역 공동체 무너진 탓”
노인 부양·환자 돌봄 등 사회서비스 확충을
매일경제 | 입력 2015.01.29 17:35
지난 22일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단둘이 금실 좋게 살던 A씨(70)가 사랑하는 아내를 목졸라 죽이고
자살을 시도한 사건이 일어났다.
남부럽지 않은 가정을 일궈온 노부부의 행복한 삶은 아내가 뇌경색으로 쓰러지면서 끝이 났다.
식물인간 상태인 아내를 극진히 보살피던 남편은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다.
올해 새해 벽두부터 명문 사립대 출신 강 모씨(48)가 자신의 아내와 두 딸을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져
충격을 준 데 이어 모친을 살해하거나 남편이 아내를 죽이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가족 간 살인이 발생하는 현상은 우리 사회가 백척간두의 위기 상태라는 사실을 방증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가족 해체는 심각한 수준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존속을 대상으로 하는 폭행·협박·살해·상해 범죄는
2010년 958건에서 2013년에는 1142건으로 19% 증가했다.
가정이 무너지고 있는 이유를 경제적인 부분에서 찾는 견해가 있다.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가족 해체가 다른 나라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성장만을 반복해오던 경제가 정점을 찍은 후 사람들이 미래에 대해 좌절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우울증 등 현대 사회에서 정신질환이 늘어나는 것도 가족 범죄의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또 우리 사회에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지만 경제적·사회적으로 고립된 어르신 부부들이
극단적 선택을 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50대 남성이 경쟁에서 실패하면 사회로부터 고립된다"면서
"이들이 느끼는 위기감이 대단히 높은 수준이라 관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불안 요인은 커지지만 우리 사회에 안전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탓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박근용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옛날에는 마을 공동체라는 것이 작동해서 서로 도우며 살 수 있었는데
그런 공동체가 무너졌는데도 사회적으로 노인 부양, 환자 돌봄 서비스 등을 담당해줄 기능이
아직 정착되지 않았고 개인과 가족에게 모든 책임이 지워지면서 극단적인 선택에 이르게 되는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사회문화적인 시각에서 최근 현상을 분석하는 의견도 있었다.
이명진 교수는 "우리나라에 강한 가족주의가 여전히 있으면서도 가족 해체가 다른 나라보다 빠른데
그 증상이 존속살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가정에 위기가 찾아오면 남자가 집을 나가면서 가족이 해체되지만
남부 유럽에서는 밖에 나갔던 실직 상태 장년들이 가족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가족이 위안을 얻는 도피처이자 해결의 실마리로서 기능한다는 점을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최희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가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도울 확률이 제일 높은 사촌은? (0) | 2015.02.13 |
---|---|
바람직한 부부 문화 만드는 5가지 요소 (0) | 2015.02.06 |
베이비붐 세대 절반 "부부갈등 발생하면 회피" (0) | 2015.01.19 |
女72% "전 배우자, 부부관계 시 내 마음 못 읽었다"…男은? (0) | 2015.01.19 |
“안산 인질범 작은딸 죽이기전 성폭행 시도했다”… 가족들 충격 증언 (0) | 201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