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교동 사저 매각 논란 와중에…전남도는 ‘DJ생가’ 문화유산 지정
전남도는 신안군 하의도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와 여수 달마사 소장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
장흥 대원사 소장 불교 전적 등 7건을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8일 밝혔다.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는 1924년 출생한 김 전 대통령이 하의보통학교(4년제)를 다니다가
1936년 목포로 이사 가기 전까지 어린 시절을 보내며 성장했던 곳이다.
인권과 평화의 정신을 키웠던 공간으로, 생가는 역사 인물 유적 및 섬 지역 전통민가의 특성을 갖췄다.
여수 달마사 소장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은 불교 의식집으로, 예념문(禮念文)과 참법(懺法)을 집성한 것이다.
죽은 사람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아미타불에게 지극한 마음을 가지고 죄업을 참회하는 법회의 절차를
수록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화합을 이끈 김대중 정신의 출발점이 된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를 잘 보존하고 관리해 그 역사적 가치를 계승·발전시키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있는 고(故) 김대중(DJ) 전 대통령 사저의 경우 개인 사업자에게 100억여 원에 매각되면서 정치권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동교동 사저는 DJ가 정치 인생의 대부분을 보낸 곳이다.
‘동교동계’라는 말도 이곳에서 나왔으며, 군사독재 시절 55차례나 가택 연금을 당하기도 했다.
김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는 지난 2019년 6월 김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전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 별세 이후
아들 형제간 갈등 대상이 됐다. 이 전 이사장의 유일한 친자인 3남 김홍걸 전 의원이 사저 소유권을 주장하자,
차남인 김홍업 이사장이 2020년 1월 사저 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같은 해 6월 양측이 합의하며 김 전 의원의 소유로 분쟁이 일단락됐다.
하지만, 김 전 의원이 20억 원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속세 체납 등을 이유로 지난달 2일 동교동 사저를 매각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그동안 ‘사저 매각 논란’에 침묵으로 일관하던 더불어민주당은 뒤늦게 “당 차원의 해결 방침을 내놓겠다”고 밝힌 상태다.
노기섭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