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세상 이야기

김성주 총재 '뺑소니 출국' 이유?… 대성산업 특혜대출 의혹

일산백송 2014. 10. 22. 13:44

김성주 총재 '뺑소니 출국' 이유?… 대성산업 특혜대출 의혹
김설아 기자|입력 : 2014.10.22 10:16

김성주 총재 /사진=뉴스1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가 김성주 적십자사 총재 일가의 대성산업에 특혜 대출을 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은 21일 진행된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박근혜정부가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를 통해 18대 대선 박근혜 대통령 후보 선대위원장 출신 김성주 대한적십자사 총재(성주그룹 회장) 일가인 대성산업에 대한 특혜적 보증과 대출의 만기를 거듭 연장하고 있다"며 "이는 보은성 특혜조치"라고 비판했다.

김기식 의원에 따르면 정책금융공사는 대선을 한 달 앞둔 2012년 11월 대성산업의 용인 구갈 토지 대금 관련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을 위해 3개월간 브릿지론 4000억 원을 지급보증했다.

정책금융공사가 대성산업에 지급 보증을 결정하자 공사의 설립 목적인 중소·중견기업 지원에도 적합하지 않고, 지원 규모 또한 이례적인 결정으로 박근혜 후보를 의식한 정책금융공사의 정치적 특혜 결정이라고 비판이 제기됐다.

이와 같은 일각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정책금융공사는 오히려 브릿지론 4000억을 상환하기 위해 브릿지론 만기 시점인 2013년 2월 산업은행과 함께 6개월 기한을 두고 4000억을 2차로 지원했다.

이뿐만 아니라 산업은행은 대성산업의 2차 대출과 회사채 상환을 위해 대주단을 모집해 6000억 원의 신디케이티드론(이하 신디론)으로 추가적인 지원을 하려고 했으나 실패로 끝났고,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는 추가적으로 2013년 5월 5000억을 다시 융자해 기존 2차 대출금을 상환토록 하면서 추가로 1000억을 지원했다.

김기식 의원은 "정책금융공사가 설립 목적에도 맞지 않는 대기업에 사전적 구조조정이라는 명목으로 지급 보증을 서고, 그 이후에는 보증을 대출로 대환 상환해주고, 대출이 상환되지 못하자 오히려 추가대출을 일으켜 만기를 연장해주고 있는 것은 그야말로 특혜 중의 특혜"라고 꼬집었다.

이어 "대성산업에 대한 정책금융공사와 산업은행의 대출은 김성주 총재 일가의 독점 사업권을 유지하고, 경영권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전형적인 특혜 대출이자, 정치적 보은 대출"이라 지적하며 "대출을 즉각 회수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김성주 총재는 갑작스러운 중국 출장으로 뒷말을 낳았다. 21일 김 총재는 국회보건복지위원회 증인으로 출석 예정이었으나 국감장에 통보 없이 오후 출발 비행기 표를 바꿔 출국했다. 적십자사 차기 총재 '낙하산 인사'에 이어 '국감 뺑소니'라는 오명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