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자 239만명 다음달부터 국민연금 더 낸다
박동휘 기자 입력 2022. 06. 13. 07:37보험료율 9%는 24년간 그대로
다음달부터 월 524만원 넘게 버는 고소득자 239만명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된다.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인상에 따른 것이다. 월 524만원 초과 직장인의 경우 본인과 회사가 보험료를 절반씩 나눠 부담하기에 7월부터 개인적으로 내야 하는 최고 보험료는 월 23만5800원에서 월 24만8850원으로 월 1만3050원 인상된다. 월 소득 524만원 미만 가입자의 보험료는 변동이 없다.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소득의 9%이다. 직장가입자인 직장인의 경우 절반(4.5%)은 본인이, 나머지 절반은 회사가 부담한다. 지역가입자는 전액 자신이 짊어진다.
이런 9% 보험료율은 24년째 동결상태다. 국민연금 제도 시행 첫해인 1988년 3%에서 시작해 5년마다 3%포인트씩 올랐지만 연금개혁 논의로 보험료 인상안이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사회적 합의를 하지 못해 번번이 물거품이 되면서 1998년부터는 지금까지 24년간 9%에 묶여 있다. 독일(18.7%), 일본(17.8%), 영국(25.8%), 미국(13.0%), 노르웨이(22.3%)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보험료율이 훨씬 낮다.
연합뉴스이렇게 보험료율 자체는 오르지 않았으나 일부 고소득자의 경우 보험료가 조금씩 오르고 있다.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국민연금 보험료 부과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이 전체 가입자 평균 소득월액의 최근 3년간 평균액 변동률을 반영해 해마다 조금씩 조정되기 때문이다.
상한액은 가입자가 그 이상의 소득을 올리더라도 상한액만큼만 올린다고 여기는 상한선이며 하한액은 가입자가 그 이하의 소득을 거두더라도 최소한 하한액만큼은 번다고 가정하는 하한선이다. 물가 상승으로 연금의 실질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막고 적정 수준의 연금급여를 보장하려는 취지에서다.
실제로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1995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는 360만원이었지만 너무 현실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2010년 7월부터 해마다 조금씩 올랐다.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2014년 7월 408만원에서 2015년 7월 421만원, 2016년 7월 434만원, 2017년 7월 449만원, 2018년 7월 468만원, 2019년 7월 486년, 2020년 7월 503만원, 2021년 7월 524만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올해 7월부터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524만원에서 553만원으로 29만원이, 하한액은 33만원에서 35만원으로 2만원이 각각 올라 2023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된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에다 보험료율(9%)을 곱해서 매기는데, 기준소득월액 상향 조정으로 7월부터 국민연금 최고 보험료는 월 47만1600원(524만원×9%)에서 월 49만7700원(553만원×9%)으로 월 2만6100원이 인상된다.
기준소득월액 조정으로 일부 가입자의 보험료가 오르지만, 연금급여액을 산정할 때 기초가 되는 가입자 개인의 생애 평균 소득월액이 높아져 노후 연금수급 연령에 도달할 때 더 많은 연금급여액을 받게 된다.
국민연금은 세금이 아니라 사회보험이기에 아무리 많은 소득을 올리더라도 무한정 보험료가 올라가지는 않는다. 연금 당국은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을 정해서 가입자가 상한액보다 더 큰 소득이 있더라도 그 상한액만큼만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간주해 보험료를 매긴다. 그래서 소득이 높더라도 그 상한액 이상의 보험료를 내지 않는다.
이런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을 두고서도 논란이 많다. 거의 해마다 오르는 임금과 물가, 가입자의 실제 소득수준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탓이다. 다른 공적연금이나 건강보험의 상한액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너무 낮다.
현재 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의 소득 상한선은 월 856만원이고 건강보험의 소득 상한선은 1억273만원(직장 평균 보수월액의 30배)에 이른다. 이 같은 상황에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의 소득 구간별 현황을 보면 12% 가까이가 소득상한액을 적용받는다.
그간 국책연구기관과 연금 관련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소득상한액을 올려야 한다는 제안이 여러 차례 나왔지만, 실현되지는 못했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연금의 소득 상한선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가입자와 사용자의 보험료 부담이 커져 수용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고 향후 연금 지급으로 나갈 액수가 늘어나는 등 재정부담도 커질 수 있기에 좀 더 사회적 논의를 거쳐야 한다며 상한선 조정에 유보적이다.
박동휘 기자 slypdh@sedaily.com<©서울경제,
'유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가입자 65% 건보료 내린다..부수입 많은 직장인 月5만원 인상(종합) (0) | 2022.06.29 |
---|---|
“무알코올 맥주 마시고 운전해도 될까요?” 음주 측정 결과 보니 (0) | 2022.06.15 |
1인당 100만 원 일단 쏜다..손실보상금 어떻게 받나 (0) | 2022.06.08 |
서울 지하철 2·5∼8호선 내달 7일부터 오전 1시까지 연장운행 (0) | 2022.05.29 |
"2년간 통신비 70만원 아꼈다"..스마트폰 바꾸려면 이렇게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