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정치 이야기

尹, 청와대 이전 강행하나 "국방부·외교부 청사 답사"..거세지는 '반대여론'

일산백송 2022. 3. 19. 13:39

尹, 청와대 이전 강행하나 "국방부·외교부 청사 답사"..거세지는 '반대여론'

문수정 입력 2022. 03. 19. 13:19 수정 2022. 03. 19. 13:33 
"집무실 이전에 혈세 투입? 민생부터 챙겨 달라"
대통령 집무실 이전 후보지로 거론되는 외교부 청사(왼쪽)와 국방부 청사 모습. 윤석열 당선인은 19일 두 청사를 현장 답사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와 광화문 외교부 청사를 직접 답사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이전할 것인지 결단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르면 오는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 이전’ 대상지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대 여론 또한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이날 당선인 비서실 등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김병준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과 후보지 두 곳을 답사했다. 전날 현장을 찾은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의 의견을 보고 받은 데 이어 직접 현장을 점검하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 행보에 힘을 주고 있다.

인수위는 국방부와 외교부 두 후보지를 모두 염두에 두고 운영 예비비로 관련 예상을 책정해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위가 행정안전부 등의 보고를 토대로 추산한 ‘청와대 이전’에 국한한 비용은 국방부 이전의 경우 400억원대, 외교부의 경우 800억 원대라고 한다. 하지만 여기에는 국방부 또는 외교부 이전에 드는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 비용을 포함하면 예산 수천억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청와대 이전지로는 용산 국방부 청사가 유력하다는 분위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물 샐 틈 없는 국가 안보의 컨트롤타워로서 국방부 청사만 한 자리가 없다. 외교부는 영구히 쓰기 어렵다”고 말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대한 반대 여론 또한 거세게 일고 있다. 지난 17일 국민청원 사이트에 제기된 ‘제 20대 대통령의 집무실 이전에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국민청원글에는 이틀 만에 동참 인원수가 7만명을 돌파했다(19일 오후 1시 기준).

이 청원글에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반대하는 이유를 네 가지로 들었다. 용산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했을 때 국민 소통이 이전 정부보다 활발해질 것이라는 근거가 보장되지 않았다는 점, 집무실 이전 과정에서 안보 공백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는 점, 비행금지 공역이 용산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그로 인한 국민의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제국주의와 종속의 땅 위에 대통령 집무실을 세운다는 것은 역사적 의의를 무시하는 행위라는 국민 정서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도 반대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한 대형 커뮤니티에서는 “이전 비용을 수백억만 얘기하는데 국방비 이전 비용까지 합치면 수천억에서 조 단위까지 넘어간다는 게 중론이다”라며 “대통령이 되기도 전에 ‘이사할 집’부터 챙기는 행보가 이해가 안 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민의 혈세 낭비라는 반박도 거세다. 한 대형 커뮤니티에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당선되자마자 밀어붙일만큼 시급한 일인가”라며 “산불 피해로 고통 받는 경북과 강원 주민들, 코로나로 3년째 허덕이고 있는 소상공인들에 대한 현실적 지원이 더 시급하다. 새 당선인이 민생부터 챙겼으면 좋겠다”는 등의 의견이 제기됐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