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운명 그것이 알고 싶다.

나쁜 이야기

"위안부 생활로 8억 저금?"..뉴라이트 주장의 '맹점'

일산백송 2019. 9. 23. 13:11

YTN

"위안부 생활로 8억 저금?"..뉴라이트 주장의 '맹점'

박광렬 입력 2019.09.23. 13:00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의 위안부 관련 발언에 많은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강제성이 없었고 자발적으로 선택한 하나의 직업이라는 건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류석춘 /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지난 19일) : 왜 매춘을 했느냐? 살기가 어려워서, 집이 어렵고 본인이 돈을 못 벌고. 지금 그렇다는 것에 동의하죠? 지금은 그런데, 과거에 안 그랬다고 얘기하는 건데 그게 아니고 옛날(일제 강점기)에도 그랬다는 거에요.]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학생에게 '궁금하면 한 번 해보라'는 성희롱적 발언을 한 겁니다.

 

본인은 궁금하면 조사해 보라는 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쉽게 수긍은 가지 않습니다.

 

[류석춘 /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지난 19일) : 매너 좋은 손님들에게 술만 따라주면 된다. 그렇게 해서 접대부 생활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 하다 보면 그렇게 되는 거에요. 지금도 그래요. 옛날만 그런 게 아니고. 궁금하면 한번 해볼래요?]

 

[해당 수업 수강생(CBS 김현정의 뉴스쇼) : 사안에 대한 의견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화제가 됐던 위안부 매춘 발언이나 학생들한테 '너도 해 볼래요?' 라는 얘기는 사실 지식인으로서 갖고 있는 상대방 인권이나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는, 어떻게 보면 의무인데 그 의무를 지키지 못했다고 생각하거든요.]

 

일본 극우 교과서를 만든 일본 우익 인사와 우리 뉴라이트 인식은 이처럼 맞닿아 있습니다.

 

문제점을 하나씩 짚어보죠.

 

먼저 강제성·자발성의 의미입니다.

 

일본군을 상대한다는 끔찍한 일, 그것도 하루에 많게는 수십 명, 상상도 할 수 없었겠죠?

 

설명과 다른 일을 억지로 시키는 것도 강제입니다.

 

원치도 않고, 알지 못했던 일을 강제로 하고 받았다는 급여도 문제입니다.

 

뉴라이트는 마치 위안부 피해자들이 큰돈을 번 것처럼 이야기합니다.

 

고 문옥주 할머니의 군용 우편계좌 저금액을 근거로 삼는데, 2년 동안 지금 가치로 8억 원이 넘는 돈을 모았다고 주장합니다.

 

과연 그랬을까요?

 

일본어로 '비루마'라고 쓰인 게 고 문옥주 할머니가 생활했던 버마, 지금의 미얀마입니다.

 

패전 당시 버마는 도쿄보다 물가가 1,200배나 올랐습니다.

 

화폐가치도 그만큼 떨어져서 2만5천 엔이 넘는 돈은 지금 기준 4만 원 정도의 가치뿐이었습니다.

 

그나마도 전쟁이 끝날 때쯤은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현금이 아니라 군표, 현지 화폐와 바꿀 수 있는 일본군이 보장하는 일종의 채권을 받았기 때문인데, 누가 전쟁에 질 게 뻔한 나라의 군표를 받아줄까요?

 

문 할머니의 저금액 대부분은 1945년 4월 이후에 집중됩니다.

 

일본군 장교들이 가치 없는 군표를 뿌렸다고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일본으로 돌아와서 돈으로 바꾸면 되지 않느냐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요.

 

일본은 '외자 금고'라는 걸 만듭니다.

 

해외 물가 상승이 국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아무리 해외에서 많은 군표를 모아도 일본 엔으로 바꿀 수 없게 한 거죠.

 

일본조차도 지난 1993년에는 고노 담화를 통해서 위안부의 책임을 직·간접적으로 인정했습니다.

 

강제 연행의 의미를 좁게 해석하고, 정당한 급여를 받은 '자발적 매춘부'라는 주장이 이제는 다시는 나와선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박광렬[parkkr0824@yt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