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여행의 기술]호텔 예약, 후지불의 함정을 주의하라
기사입력2017.10.25 오전 12:02
최종수정2017.10.25 오전 9:31
예약 즉시 결제 안하지만 가격 변동 감수해야
자체 환율 내세워 폭리 취하는 사이트도
복잡한 약관에 요금 체계 이해 어려워
호텔을 예약하고 결제하는 방법이 다양해졌다.
예약과 동시에 결제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예약만 해두고 결제는 뒤로 미뤄 나중에 하거나 호텔에 가서 직접 결제할 수도 있다. 결제 화폐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문제는 이처럼 다양한 선택지가 소비자를 배려하는 듯 보이지만 실은 알게 모르게 적지 않은 수수료가 빠져나간다는 사실이다.
원본보기
인터넷으로 호텔을 예약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예약 방법뿐 아니라 결제 방식도 다양해졌다. 예약 즉시 결제를 하지 않고 일주일 뒤 혹은 호텔에서 결제하는 방법도 있다. [중앙포토]
얼마 전 직접 겪은 일이다.
인도네시아 숙소를 호텔 예약 사이트 아고다에서 예약했다.
동남아시아는 현지 화폐를 기준으로 예약하는 게 낫다는 말을 듣고 루피아로 결제했다. 한데 여행 일정이 바뀔지 몰라 결제는 예약 시점으로부터 일주일 뒤에 하도록 했다.
호텔 1박 가격은 547만2551루피아.
예약 시점 기준으로 411.70달러(약 46만5000원)였다.
정확히 일주일 뒤, 신용카드 결제 문자가 날아왔다. 433.60달러. 겨우 일주일만에 21.90달러가 올랐다. 한화로 약 2만5000원이다. 인도네시아에 가면 길거리 음식을 10번 사먹고, 한국에서는 사내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16잔을 마실 수 있는 돈이다. 1박이었으니 망정이지 4박이었다면 10만원이나 손해볼 뻔했다. 어찌보면 큰돈이 아닐 수도 있었지만 결제금액이 느닷없이 오른 걸 납득하기 어려웠다.
원본보기
최근엔 우선 예약만 하고 나중에 결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즉시 결제하는 것보다 가격이 비싼 데다 결제 시점 환율이 올라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사진 아고다 홈페이지 캡처]
원본보기
부킹닷컴에서 예약하면 호텔에서 체크아웃할 때 결제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요즘엔 호텔스닷컴, 아고다 같은 사이트도 이런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진 부킹닷컴 홈페이지 캡처]
콜센터 직원과 통화를 했다.
“왜 이렇게 가격이 오른 거죠? 확인해보니 환율이 이렇게 뛰진 않았는데요.” “회사에서 적용하는 자체 환율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관련 내용이 약관에 다 나와 있습니다.” “자체 환율이란 게 뭐죠?” “그건 공개할 수 없고, 고객님이 확인한 환율을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해외 환율 정보 사이트(xe.com)에서 확인한 환율을 일러줬다. 예약시점인 9월8일에는 1달러가 1만3172루피아, 결제시점인 9월17일에는 1달러가 1만3240루피아였다. 즉 루피아의 가치가 낮아진 것이다. 이 기준을 따르면, 아고다 사이트에서 루피아로 결제를 했기 때문에 카드사에 청구되는 비용은 약 2달러 낮아지는 게 맞았다.
통화가 길어질수록 혈압이 상승하는 기분이었다.
콜센터 직원이 문제가 아니라는 걸 알았지만 그에게 따질 수밖에 없었다. 소비자원, 공정거래위원회에 호텔 예약 사이트를 신고하는 사람들의 심정을 알 만했다. 고객에게는 환율 정보를 요구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기준 환율을 알려줄 수 없다는 설명을 끝내 이해할 수 없었다. 아고다의 약관을 살펴보니, “선예약 후지불을 선택한 경우, 예상 결제 금액이 제시되며 추후 결제 날짜의 환율에 따라 요금이 결제되어 최종 결제 금액이 처음 제시된 예상 결제 금액과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돼 있었다. 한 마디로 눈 가리고 아웅이다.
그래도 방법이 없었다.
관련 부서와 논의해서 5일 뒤에 연락을 주겠다는 말을 듣고 통화를 끝냈다. 기다렸다. 그리고 3일 뒤 e메일이 왔다. “차액을 이번 한 번에 한해 좋은 뜻으로 고객님께 환불해 드립니다. 다음에는 ‘즉시 결제’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뜻? 환불을 받고도 기분이 영 찜찜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비슷한 사례가 많았다. 황당한 일을 겪었다며 푸념을 한 사람은 그걸로 끝이었지만 회사측에 항의한 사람 대부분은 차액을 환불 받았다.
보험 약관만큼이나 복잡한 호텔 예약 사이트의 약관 중 일부다. 이걸 다 읽는 소비자가 얼마나 될까.
이같은 일이 일반적인걸까? 전문가에게 물었다.
호텔 예약업체 관계자 A씨는 “각 회사마다 다른 환전 수수료를 적용한다 해도 공시환율을 기준으로 한다”며 “공시환율과 무관하게 가격이 오르는 건 비상식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호텔리어 B씨는 “호텔 예약 사이트는 복잡한 요금 체계와 환전, 환율 변동을 미끼로 소비자가 모르는 이익을 취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대부분 사이트가 국내법을 적용받지 않기에 소비자가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결국 소비자가 똑똑해야 손해를 안 본다는 말이다. 그러니 얼마 전, 여행의 기술에서 소개한 호텔을 똑똑하게 예약하는 법부터 명심해두자. 해외 쇼핑을 하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해외 호텔은 그 나라 화폐로 결제하는 게 이득이다. 그런데 한국은 사정이 좀 다르다. 아고다·호텔스닷컴 같은 외국 사이트에서 한국 호텔을 예약한다면 원화가 아닌 달러로 예약하는 게 낫다. 해외에 기반을 둔 이같은 회사들은 원화결제 서비스(DCC) 명목으로 결제금액에 약 5%를 덧붙인다. 처음 보이는 원화 가격보다 최종 청구 금액이 비싼 건 그래서다.
그럼 결제시점은?
여행 일정이 불확실하다면 ‘나중에 결제’나 ‘호텔에서 결제’를 선택할 수 있지만 환율 차이가 생길 수 있거니와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건 감안해야 한다.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예약 시점에 바로 결제하거나 호텔에 가서 하는 게 여러모로 낫다. 물론 ‘환불 불가 상품’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가장 저렴한 건 호텔에서 체크아웃할 때 한국에서 환전해간 현지 화폐로 결제하는 거다. 국내 은행에서 우대 받은 환율이 신용카드사의 환율보다 좋을테고, 추가되는 1~2%의 카드 수수료도 없기 때문이다. 물론 돈뭉치를 들고 다니는 게 거추장스럽지 않은 여행자여야 할테다.
원본보기
호텔 예약 사이트에 엄한 수수료를 떼이지 않으려면 소비자가 현명해지는 수밖에 없다. 사진 속 호텔은 기사와 무관함. [중앙포토]
원본보기
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년만에 부활한 옛 서울역, 제대로 살아나려면 (0) | 2017.11.28 |
---|---|
여행의 시작과 끝은 항공기 탑승.. 편안한 좌석 선택방법은 (0) | 2017.11.19 |
노트북 컴퓨터, 여객기 위탁 수하물 전면 금지될 듯 (0) | 2017.10.21 |
해외서 사오지 마세요!..'반입 금지' 품목은? (0) | 2017.09.30 |
해외여행갈 때 알아야 할 나라별 에티켓 (0) | 2016.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