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없으니 치료 안 할래”...손 놓고 방치하다 생명까지 위협한다는데
100명 중 49명은 진단 후 3개월 이전 사망
간에는 신경세포 적어 파괴돼도 통증없어
의료기관 방문해 검진·치료받는 것이 중요
소위 ‘침묵의 장기’로 불리는 간은 전체의 70~80%가 파괴돼도 당사자가 위험 신호를 거의 알아차리지 못한다. 간 자체에 신경세포가 매우 적어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끝없이 커진 암이 간을 둘러싼 피막을 침범한 후에야 비로소 불편함을 느낀다. 국내 암 환자의 사망율 2위가 간암인 이유다.
더 큰 문제는 간암에 걸린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는 이유로 치료를 아예 포기해버리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서울성모병원 연구진은 치료받지 않은 간암 환자의 경우 생존기간 중간값이 3개월에 불과하다는 점을 들어 의료기관에 하루 빨리 방문할 것을 당부했다.
암이 생긴 간의 모습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분석 결과,
치료받지 않은 환자들이 간암 진단을 받은 평균 나이는 59.6세였고, 그중 80.2%가 남성이었다.
가장 눈길을 끈 부분은 이들의 생존기간 중간값이 3개월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생존기간 중간값이란 병 진단을 받은 날로부터 환자군의 절반이 생존해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간암환자가 100명이 있다고 가정하면 50번째 환자가 사망하는 시점이 3개월이라는 얘기다.
1~49번째 환자는 3개월도 채 되지 않아 사망에 이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20%가량인 219명은 간암 초기 단계에 해당해 치료가 충분히 가능한 상태였음에도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성 교수는 “간암의 자연경과와 관련해 현재까지 나온 발표 중 가장 많은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라며 “치료받지 않은 간암의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 방침을 설정하거나 정부가 건강보험 정책을 수립할 때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면역복합치료가 진행성 간암에서도 1차 치료로 건강보험 급여에 등재됐기 때문에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줄어든 상황”이라며 “간암을 진단 받았을 때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꼭 전문의를 찾아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올해 의사 면허 취득 후 가톨릭의대 부속병원에서 근무 중인 권민정·장소이 수련의(인턴)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연구 설계부터 논문 완성까지 많은 것을 배운 만큼 앞으로 환자에게 도움을 주는 의학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과 서울성모병원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콜로지 (Frontiers in Oncology)’(IF=5.738) 3월호에 게재됐다.
ⓒ 매일경제 & mk.co.kr,
'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식물' 키우면, 실내 공기 발암물질 97% 제거 (0) | 2023.06.03 |
---|---|
꾸준히 위내시경 받고도, 얼마 뒤 위암이라면…내시경 관찰 시간과 연관 가능성 (0) | 2023.05.08 |
잘 때 '이 증상' 나타난다면… 혈액암 의심신호 (0) | 2022.11.10 |
췌장암의 ‘뚜렷한 전조 증상’… 알아두면 3년 일찍 발견할 수도 (0) | 2022.11.03 |
[K바이오리더] 정철웅 레고켐바이오 연구소장 “ADC 항암제, 암세포만 공격하는 크루즈 미사일… 기술수출 5兆”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