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메디컬 인사이드] 고혈압약 평생 먹는다? 노력따라 달라진다
입력 2018.11.05. 03:36
혈압약 복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서울신문]30세 이상 국민 7명 중 1명 고혈압
코골이 환자의 절반이 고혈압 환자
식이요법·적절한 치료 효과 따라
환자 3명 중 1명은 복용 중단 가능
계속 먹더라도 복용량 줄일 수 있어
흔히 혈압에 대해 ‘계절을 탄다’고 표현합니다.
혈압은 여름철에 떨어졌다가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10월 이후에 급상승합니다.
땀을 적게 흘리고 혈관이 수축해 여름과 비교해 일반인도 수축기 혈압이 평균 7㎜Hg,
이완기 혈압은 3㎜Hg가량 높아집니다. 그래서 11월에 들어서면 ‘고혈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집니다.
올해는 관심이 더 높아졌습니다.
지난해 11월 미국심장학회가 새로운 고혈압 진료지침을 내놨는데 수축기 혈압 140㎜Hg,
이완기 혈압 90㎜Hg인 고혈압 기준을 각각 130㎜Hg, 80㎜Hg으로 강화했기 때문입니다.
이 내용을 접한 많은 분들이 “약을 더 팔기 위해서다”, “난 믿지 못하겠다”고 강력 비난했습니다.
다행인지는 모르겠지만 대한고혈압학회는 지난 5월 춘계국제학술대회에서
기존의 140㎜Hg, 90㎜Hg 기준을 유지했습니다.
유럽고혈압학회도 6월 같은 의견을 냈습니다.
우리 고혈압학회는 “미국의 연구는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했고,
아시아인은 2%밖에 포함하지 않아 기준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그럼 이제 안심해도 될까요.
고혈압 환자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여서 결코 안심할 상황이 아닙니다.
4일 대한고혈압학회,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공동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국민 중 고혈압 환자는 2016년 기준 539만명이나 됩니다.
전체 인구 10명 중 1명이 고혈압이라는 뜻입니다. 30세 이상(3500만명)으로 좁혀보면 7명 중 1명꼴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3개를 동시에 앓고 있는 환자도 141만명입니다.
우리 주변에는 “병원 가면 무조건 약부터 처방한다”고 오해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이해영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사람에 따라 병원에 갔을 때 긴장해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아질 수 있다”며
“혈압이 수축기 140㎜Hg, 이완기 90㎜Hg 이상으로 나왔다고 해도 반드시 몇 주 후 다시 혈압을 측정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서로 다른 시기에 3회 정도 혈압을 측정해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며
“혈압이 오르락내리락 변동이 심하면 집에서 휴대용 혈압측정기로 진단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가정에서 측정할 때는 오차를 감안해 135㎜Hg, 85㎜Hg를 고혈압 기준으로 삼습니다.
대개 짜게 먹는 습관, 흡연, 음주가 혈압을 높인다는 사실은 잘 압니다.
그런데 잠잘 때 코를 심하게 골다가 숨이 갑자기 막히는 ‘수면무호흡증’도 고혈압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이런 환자의 절반이 고혈압 환자입니다.
박성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무호흡으로 늘어난 스트레스 호르몬이 혈압을 높이기 때문”이라며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만든 고혈압 환자 식사법인 ‘대시(DASH) 식이요법’은
고혈압 예방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박 교수는 “붉은 고기보다 흰 고기, 견과류를 먹고 단 음식이나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를 피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저지방 우유도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되는데, 칼슘 섭취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금을 완전히 줄이기는 어렵습니다. 좋은 방법은 국물을 조금 남기거나 라면 수프를 반만 넣고 김치, 젓갈을 너무 많이 먹지 않는 것입니다. ‘후추’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수축기 혈압 120~139㎜Hg, 이완기 혈압 80~89㎜Hg인 ‘고혈압 전단계’라면 이런 생활습관 개선에 관심을 갖는 게 좋습니다.
“혈압약은 평생 먹어야 한다”고 오해해 병원을 찾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교수는 “반만 맞고 반은 틀렸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교수는 “환자 3명 중 2명은 약물치료를 계속해야 하지만 나머지 1명은 잘 치료하면 혈압이 정상으로 유지된다”며 “고혈압으로 수축됐던 혈관이 약 복용 뒤 다시 확장되면서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약을 계속 먹는 환자도 3~6개월 혈압을 잘 조절하면 처음 먹었던 약 용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고혈압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폭음하는 환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음주는 혈압약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때문에 무조건 피해야 합니다.
중요한 사실은 저체중인 사람이 알코올에 더 취약하다는 겁니다.
이 교수는 “마른 사람이 알코올에 더 민감하다”며
“저체중 고혈압 환자는 남성 하루 2~3잔, 여성 1~2잔인 음주 기준보다 절반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안 먹고 혈압 낮추는 뜻밖의 방법 5 (0) | 2018.11.15 |
---|---|
당뇨병은 '혼자' 오지 않는다..고혈압·고지혈증 물고 들어와.. (0) | 2018.11.13 |
"파킨슨병, 맹장에서 시작될 수도..절제땐 발현 늦어" (0) | 2018.11.01 |
뇌졸중 위험 커지는데..국민 절반 전조증상 몰라 (0) | 2018.10.29 |
"찌는 게 억울해" 나이 들면 느는 체중, 왜? (0) | 2018.10.26 |